4.1.10

다가올 미래 IT환경의 상상

먼저 TV는 홈네트워크의 메인 서버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.
슬림한 디자인의 TV는 그 평면크기가 점차 어마하게 커질 것이고 인터넷, 방송, 이종 기기간의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이 되는 메인서버가 될 것이다.
집 안의 각종 전자 제품들은 PAN을 통해 통신할 것이다.
기본적으로 냉장고, 세탁기 등의 필수 전자 제품들은 현재 자신의 상태를 메인서버에 보낼 것이다.
이 때 메인서버의 OS를 구글의 크롬OS라고 가정해보자.
메인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각 전자제품의 관리app을 통해 전자기기들은 관리된다.
가령 냉장고 관리 app(app마켓에서 다운받은 것)이 메인서버에 설치되어 있고 이 app에는 각종 세팅을 할 수 있다. 가령 냉장고안에 있어야 할 맥주의 개수, 야채 종류 등등.
냉장고는 RFID 태그를 통해 음식들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그 정보를 메인서버에 보내게 된다.
메인서버의 냉장고 관리 app은 그 정보를 읽고 맥주의 개수가 부족한 경우 자동으로 주문쿼리를 만들어 온라인마트에 주문을 한다.
집 안에 있는 센서들은 서로의 정보를 메인서버에 보내고(메인 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특정 app, 이 app은 웹으로 연동) 의미 있는 정보를 도출해 낸다.
가령 집 곳곳의 온도, 습기등을 파악하여 메인 서버에 설치된 특정 app에 모아지고 통계를 내거나 자동으로 어떤 액션을 취한다.

이렇듯 집 안의 각종 전자기기등은 메인서버에 정보를 종합한다.
사용자는 이러한 각종 기기들을 신경 쓸 필요가 없이 메인서버에 설치된 app에 단순히 필요한 세팅만 해놓으면 된다.
메인 서버는 웹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외부에서도 다양한 디바이스(스마트폰, 넷북 등)를 통해 웹에 접속해 메인서버에 질의할 수 있다.

스마트폰 같은 디바이스들은 RFID 태그를 읽을 수 있고 UWB, Bluetooth등을 이용해 주변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.

크롬OS는 오픈소스이므로 수많은 app들이 자유롭게 존재하게 되고 사용자는 app마켓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app을 다운받아 스마트폰 또는 메인서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.

클라우드 컴퓨팅의 구현으로 웹상에서 동기화된 작업을 어디서나 할 수 있게 된다.




-- 알아야 할 것 --
UWB란?

UWB 기술 발전 정도

No comments:

Post a Comment